일본에서 한국으로 술 반입 최대치가 얼마인가요? 술을 좀 많이 사가고 싶은데1. 면세 한도 넘어서도 반입 가능한지2.
일본에서 한국으로 술 반입 최대치가 얼마인가요? 술을 좀 많이 사가고 싶은데1. 면세 한도 넘어서도 반입 가능한지2.
술을 좀 많이 사가고 싶은데1. 면세 한도 넘어서도 반입 가능한지2. 최대 얼마나 가져올 수 있는지3. 추가 관세는 얼마 정도 되는지이 정도 궁급합니다!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ㅠㅠ

한국으로 입국할 때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주류 반입 한도는 다음과 같아요.
✔ 1인당 주류 1병(1리터 이하, 400달러 이하)까지 면세
✔ 1리터 초과 or 400달러 초과 시 초과분에 대해 관세 부과
1.5L 와인 1병 → 1L 초과분에 대해 과세
1L 이하지만 가격이 400달러 넘으면 과세 대상
✅ 2. 면세 한도 초과 시 반입 가능 여부 및 최대 반입량
✔ 면세 한도를 초과해도 추가 세금(관세, 개별소비세 등) 납부하면 반입 가능
✔ 개인 소비용이라면 최대 10L까지 반입 가능
✔ 10L 초과 시 상업적 수입으로 간주 → 세관 신고 및 허가 필요
즉, 1L 면세 + 추가 9L까지 세금 내고 반입 가능
부가세: (관세 + 개별소비세 + 교육세) 합계의 10%
예시 – 100달러짜리 1L 위스키 추가 반입 시 세금 계산
개별소비세: 100달러 × 72% = 72달러
부가세: (20 + 72 + 21.6) × 10% = 11.36달러
✔ 총 세금 = 약 125달러(약 16만 원)
술 종류에 따라 세율이 다를 수 있으니, 세관에서 정확한 세율 확인 필요!
✔ 1L 이하, 400달러 이하 주류 1병은 무조건 면세
✔ 10L까지는 세금 내면 반입 가능 (초과 시 상업용 간주됨)
✔ 관세 부담을 줄이려면 가급적 1L 이하 제품 위주로 구매

일본 관세 완벽 가이드: 수입 절차와 세금 혜택 총정리 - 캐시플로우
일본으로 제품을 수입하거나 선물을 보내려면 관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본의 관세는 상품의 종류, 가격, 수량에 따라 달라지며, 사전 준비 없이 진행하면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오늘은 일본 관세의 주요 사항과 절세 꿀팁까지 모두 알려드릴게요!
⚠ 다만, 제공하는 답변이 100%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니 참고만 해주시고, 정확한 내용은 반드시 대한민국 관세청(국번 없이 125)이나 공항 세관에 확인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