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육아휴직 후 퇴사시 퇴직금 2022년 12월 1일-12월 15일 정상근무(급여100만원)2022년 12월 16일-2023년 1월 1일-1월 15일
2022년 12월 1일-12월 15일 정상근무(급여100만원)2022년 12월 16일-2023년 1월 1일-1월 15일 산전육아휴직2023년 1월 16일-1월 31일 정상근무 (급여 100만원)2023년 2월-2025년 3월까지 출산휴가&육아휴직&육아기단축근무2025년 4월 1일-4월 30일 (급여 300만원)위처럼 근무하고 4월 30일부로 퇴직시에 퇴직금은마지막 4월 한달 일했을 때 급여인 300만원 기준으로 근무기간에 비례해 지급되는게 맞을까요?(아니면 마지막근무인 4월 한달과 육휴전 일했던 2개월치 급여를 합산한 금액 기준으로 제공되는걸까요?
오! 유럽 7개국을 11박 12일 동안 둘러보는 패키지여행에 대해 알아보시는군요! 발틱 3국과 북유럽 4개국이라니, 정말 다양하고 알찬 일정이네요! 노랑풍선에서 인당 119만 원짜리 상품을 보셨고, 선택 관광에 대한 궁금증, 그리고 터키 패키지여행의 가이드 성향에 대해 질문 주셨군요. 하나씩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유럽 7개국 패키지여행 선택 관광 강제성 및 비용:
와, 11박 12일 동안 7개국이라니 정말 빠르게 여러 나라를 경험하는 코스네요! 이런 다양한 국가를 짧은 기간에 둘러보는 패키지여행은 보통 각 도시나 나라에서 핵심적인 명소 위주로 보고 이동하게 됩니다.
* 선택 관광 강제성: 대부분의 유럽 패키지여행에서 선택 관광은 강제적이지 않아요. 말씀하신 것처럼 중국이나 동남아 일부 지역 패키지에서 쇼핑이나 옵션 강요가 심한 경우가 과거에 있었지만, 유럽 여행 패키지는 비교적 그러한 성향이 덜한 편입니다. 선택 관광은 여행객의 선택 사항이며, 참여하지 않아도 불이익은 없습니다. 참여하지 않는 시간에는 보통 자유 시간을 가지거나, 일행 중 선택 관광에 참여하지 않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 선택 관광 비용: 선택 관광은 각 프로그램마다 정해진 비용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7개국 11박 12일 일정이라면 방문하는 도시마다 1~2개 이상의 선택 관광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유럽 패키지 선택 관광 비용은 1인당 50유로 ~ 150유로 이상 (약 7만 원 ~ 20만 원 이상)까지 다양합니다.
* 모든 선택 관광을 다 하지는 않으시더라도, 마음에 드는 프로그램을 몇 가지 선택해서 참여하다 보면 1인당 총 선택 관광 비용이 30만 원을 넘는 경우도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4개의 선택 관광만 하더라도 비용이 30만 원을 넘을 수 있죠. 프로그램 가격은 패키지 상세 일정표에 보통 명시되어 있으니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선택 관광은 강제가 아니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선택 관광을 다 하지는 않더라도 몇 가지만 하더라도 1인당 30만 원을 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담스러우시다면 원하는 프로그램만 골라 참여하시면 됩니다.
2. 터키 패키지여행 가이드 성향:
터키 패키지여행 가이드의 성향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터키 사람들은 활기차고 친절하며 유머러스한 성향이 강한 편이라 가이드분들도 이러한 성향을 가지신 경우가 많습니다.
유럽/동남아/중국 비교: 대만이나 일본처럼 조용하고 차분한 느낌보다는 조금 더 적극적이고 유쾌한 분위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나 동남아 일부 지역 패키지에서 느껴질 수 있는 과도한 쇼핑 강요나 위압적인 분위기는 일반적인 터키 패키지에서는 덜한 편입니다. 터키는 역사 유적, 자연 경관, 문화 체험 등이 주가 되므로 쇼핑에만 집중된 일정은 아닙니다.
가이드의 역할: 터키는 역사적으로 중요하고 볼거리가 많은 나라이므로, 가이드의 역할(유적 설명, 문화 안내 등)이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가이드분들이 해박한 지식과 입담으로 여행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가이드 성향은 복불복일 수도 있지만, 터키 패키지여행 가이드분들은 대체로 친절하고 재미있게 여행을 이끌어주시는 편이라는 후기가 많습니다.
여행 계획하시는 발틱 3국, 북유럽 4개국 패키지여행도 멋진 경험이 될 거예요! 다양한 나라를 짧은 시간 안에 경험하는 만큼, 각 나라의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느끼고 오실 수 있을 겁니다. 선택 관광은 잘 선택하셔서 부담 없이 즐기시고, 터키 여행도 기대하신 대로 즐거운 경험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퇴직금 계산 질문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네, 2022년 12월 1일부터 근무를 시작하여 중간에 산전/육아휴직 및 육아기 단축 근무 기간이 있으셨고, 마지막 한 달 (2025년 4월)은 정상 근무(300만 원) 하신 후 4월 30일부로 퇴직하시는군요. 퇴직금 계산 기준이 마지막 달 급여(300만 원)인지, 아니면 육휴 전 급여를 합산하는 것인지 궁금하시군요.
복잡한 근무 이력 때문에 퇴직금 계산이 어떻게 되는지 헷갈리시겠어요. 특히 중간에 육아휴직 등이 있어서 더 신경 쓰이실 것 같아요. 퇴직금 산정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퇴직금 산정 기준:
퇴직금은 퇴직 전 3개월 동안의 평균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하여 산정합니다.
평균임금: 퇴직 전 3개월 동안 근로자에게 지급된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단축 근무 기간의 평균임금 산정: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은 근로기준법상 평균임금 산정 기간에서 제외됩니다. 이는 이러한 기간 동안 임금이 낮거나 없어서 평균임금이 부당하게 적게 산정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퇴직 전 3개월(2025년 2월, 3월, 4월)에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단축 근무 기간이 포함되어 있다면, 해당 기간은 빼고 그 이전 3개월의 평균임금을 산정합니다.
*귀하의 경우 (2025년 4월 30일 퇴직):
퇴직 전 3개월은 2025년 2월 1일부터 2025년 4월 30일까지입니다.
* 2025년 4월: 정상 근무 (급여 300만 원)
* 2025년 2월, 3월: 출산휴가 & 육아휴직 & 육아기 단축 근무 기간
2월과 3월이 평균임금 산정 기간에서 제외되는 기간이므로, 평균임금 산정 기간은 그 이전 3개월인 2022년 11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가 됩니다.
* 2023년 1월 16일 ~ 1월 31일: 정상 근무 (급여 100만 원)
* 2022년 12월 16일 ~ 2023년 1월 15일: 산전육아휴직 기간 (제외)
* 2022년 12월 1일 ~ 12월 15일: 정상 근무 (급여 100만 원)
* 2022년 11월 1일 ~ 11월 30일: 정상 근무 (급여 ???)
따라서 퇴직금 산정의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은 마지막 4월 한 달의 급여(300만 원)가 아니라, 산전휴가/육아휴직 등이 시작되기 직전 3개월인 2022년 11월, 12월, 2023년 1월의 임금 총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2022년 11월 급여 정보가 필요합니다.)
* 2022년 11월 1일 ~ 2023년 1월 31일까지 지급받은 임금 총액 (산전휴가 기간은 제외)
* 이 기간의 총 일수 (2022년 11월 1일 ~ 2023년 1월 31일 = 92일, 다만 산전휴가 기간만큼 일수에서 제외)
평균임금 = (2022년 11월 + 12월 + 2023년 1월의 임금 총액) ÷ (2022년 11월 1일 ~ 2023년 1월 31일 중 산정 기간에 포함되는 일수)
중요한 점: 출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단축 근무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 기간에서는 제외되지만, **퇴직금 산정을 위한 '근속연수'에는 포함됩니다. 따라서 2022년 12월 1일부터 2025년 4월 30일까지의 전체 기간(약 2년 5개월)이 근속연수에 반영되어 퇴직금이 계산됩니다.
결론적으로, 퇴직금은 마지막 근무인 4월 한 달의 급여(300만 원) 기준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 육아휴직 등이 시작되기 전 3개월(2022년 11월 ~ 2023년 1월)의 임금 총액을 기준으로 계산된 평균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하여 산정됩니다. 육휴 전 일했던 2개월치 급여를 합산한다는 표현은 맞지만, 기간은 정확히 육휴 시작 직전 3개월입니다.
정확한 퇴직금 금액은 회사의 급여 계산 방식이나 2022년 11월 급여, 그리고 2022년 12월과 2023년 1월의 100만원이 해당 기간의 근로에 대한 정확한 임금인지 등을 확인해야 알 수 있습니다. 회사 인사팀에 문의하여 퇴직금 산정 기준 및 예상 금액에 대해 확인해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