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해킹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해킹당해서 이메일이 강제로변경되서 복구를 통해 비밀번호를 변경했으나 다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해킹당해서 이메일이 강제로변경되서 복구를 통해 비밀번호를 변경했으나 다시 이메일이강제적으로 변경되서 해커의 이메일에 전송된 인증번호가없으면 2차보안등 추가조치가 불가능한 상황인데요 이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하나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반복적으로 해킹당하고 2차 인증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다음 단계를 즉시 진행하세요:
1. 긴급 조치
마이크로소프트 지원팀에 직접 연락
→ Microsoft 계정 복구 페이지에서 "문의하기"를 선택하거나,
→ 미국 지원팀에 영어로 연락: +1-800-642-7676 (더 빠른 대응 가능).
전화로 증명할 자료 준비
이전에 사용한 비밀번호, 결제 정보(카드 번호 등), 계정 생성 일자, 연결된 장치 모델 등.
2. 보안 조치 재설정
임시 이메일로 계정 접근
복구 과정에서 새로운 이메일 주소(구글/네이버 등)를 등록하고, 해커의 이메일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요청하세요.
2FA(2단계 인증) 강제 재설정
지원팀에게 SMS/인증 앱 방식으로 2FA를 변경할 수 있도록 요청. 해커의 이메일을 인증 수단에서 제거해야 합니다.
3. 추가 보안 강화
연결된 모든 장체에서 로그아웃
지원팀에게 "모든 장치에서 로그아웃" 기능을 실행해 달라고 요청.
새로운 보안 정보 설정
복구 후:
복구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즉시 업데이트.
Authenticator 앱 사용을 권장(SMS보다 안전함).
복구 코드를 안전한 곳에 보관.
4. 계정 활동 모니터링
Microsoft 보안 대시보드에서 최근 활동 확인.
의심스러운 로그인 시 "이건 제가 아닙니다" 신고.
5. 예방 조치
피싱 사이트 주의: 로그인은 반드시 공식 Microsoft 사이트에서만.
정기적 암호 변경: 3개월 주기로 비밀번호 변경.
백업 이메일 분리: 복구용 이메일을 다른 보안 수준이 높은 계정으로 설정.
6. 지원팀과의 소통 팁
"계정이 지속적으로 해킹당하고 있습니다. 2FA 리셋과 해커 이메일 제거가 필요합니다"라고 명확히 설명.
케이스 번호 요청: 추적을 위해 지원팀과의 대화 내용을 기록 보관.
이후에도 문제가 지속되면, Microsoft 커뮤니티 포럼에 게시하거나 개인 정보 보호 관련 법률 지원(한국의 경우 KISA)을 고려하세요. 계정에 중요한 데이터가 있다면, 사이버 범죄 신고 센터(cyberbureau.police.go.kr)에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