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사회문화 1차이면서 이익사회인 집단에는 뭐..가있나요..? 1차가 친밀감을 느끼는 집단..인건 이해를 했고이익사회도 후천적으로 선택의지에 의해서 결합된

1차가 친밀감을 느끼는 집단..인건 이해를 했고이익사회도 후천적으로 선택의지에 의해서 결합된 집단이라는건 이해했는데 그 이둘이 둘다되는 집단에는 뭐뭐가 있는지 생각이 잘 안떠오릅니다 도와주세요ㅜㅜ
좋은 질문이에요 사회문화에서 집단 분류가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죠.
정리
1차 집단
친밀감, 정서적 유대 중심
예: 가족, 또래집단, 이웃 등
이익 사회(=도구적 집단)
일정한 목적이나 이해관계 때문에 형성, 선택과 의지에 의한 결합
예: 회사, 노조, 정당, 동호회, 학원 등
“1차 집단 + 이익 사회” 동시에 해당될 수 있는 집단
두 기준이 배타적인 건 아니에요. 즉, 하나의 집단이 두 가지 성격을 동시에 띌 수 있습니다.
예시:
직장 내 소규모 동료 집단 → 원래는 ‘회사’가 이익사회이지만, 소규모로 친밀하게 교류하며 정서적 유대가 강해질 수 있음 → 1차 집단 성격도 가짐.
동아리·동호회 → 특정 목적(운동, 취미)을 위해 결성된 이익사회인데, 친밀감이 깊어지면 1차 집단이 되기도 함.
학원 친구들 → 학습이라는 목적 때문에 모였지만, 정서적으로 가까워지면 1차 집단 성격도 가능.
✅ 정리하면:
동호회, 학원, 직장 내 친한 동료 집단, 동아리 등은 이익사회이면서 동시에 1차 집단이 될 수 있어요.
혹시 원하시면, 제가 1차 집단 vs 2차 집단, 공동사회 vs 이익사회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표로 정리해드릴까요?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