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에 대한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교 1학년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편입에 관련된 질문을 묻고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교 1학년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편입에 관련된 질문을 묻고 싶은 소망입니다 그 전에 저 스스로의 스펙을 소개하자면요 대학: 충주권 4년제 대학 학년: 1학년 학과: 인문계열(중국어학과) 성적: 4.5 자격증: 현재[토익, 운전면허증 1종 보통(자동)] 과거[HSK 6급, HSKK 고급] 대중 이렇게 되는데요 이제 본질적으로 가자면, 고등학교에 내신이 낮은 탓에 충주에 있는 대학에 입학하면서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데요. 그러나 날이 갈 수록 스스로의 자신감이 고등학교 때 보다 낮아지고 있어요. 원래는 그냥 학교 다니고 졸업장 따면서 나의 스펙을 쌓아 올릴 수 있는 경험을 하기로 한 방식을 채택해서 병행하자는 생각이 먼저였습니다. 편입이란 제도를 보니 대학교를 전학할 수 있다라는 것을 알게 된거에요. 이번 대학교에 들어올 만큼 열심해서 편입하기로 현재 진행중입니다. 제가 현재 1학년 2학기인 상태라서 이제 내년이면 편입할 시기가 되서 미리 편입에 대한 제도를 정리해놨습니다. 편입을 가고 싶은 이유는 학벌도 학벌 떄문이지만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어서 진로도 이쪽으로 잡을 예정입니다. 그래서 중국어로 가지고는 만족할 수가 없고 차라리 편입가서 서울권 4년제 대학을 바라보는 것이 어떨지 생각합니다.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를 찾아보니까 [한양대 스포츠매니지먼트학과]를 알게되고, 여기로 편입하면 어떨까 생각중입니다. 편입 지원은 제한적이지 않다는 것을 듣고 다른 대학교 찾아보니 다양하게 많더라고요. 영어를 수능에서 3등급을 받았지만, 지금은 토익까지 봐서 문법이 옛날 만큼은 좋아졌고, 편입에서 이용하면 된다는 생각에 착각이 왔습니다. 편입 단어를 외워야 하다군요. 그래도 끝까지 개인이 편입하고자하는 대학을 목표로 정해 열심히 하려고 합니다. 이제 질문하겠습니다 1. 서울권 4년제 대학중에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가 있나요? (편입으로. 단, 실기 제외) 2. 전적대 수강과목을 편입에서 본다던데,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를 지원하려면 전적대에서도 스포츠에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여부를 통해 갈리나요? (중국어학과 과목을 수강한 것이 많아서 걱정이에요) 아니면 이렇게 한거 말고 다른 뜻이 있나요? 3. 스포츠매니지먼트학과 편입 시 요구되는 영어 수준과 준비 방식은 어떤가요? (토익, 편입영어, 공인영어 대체 여부 등 확인 필요) 4. 학점 관리가 편입에서 어느 정도 중요한가요? (예: 4.0 이상 vs 3.5 정도) [학점 커트라인, 장학금 연계 여부} 5. 편입 후 전공 따라가기 어려움이 있나요? (중국어학과 → 스포츠경영/스포츠산업) [선수 지식이 부족할 경우 보충 방법] 6. 서울권 스포츠 관련 학과 말고 대안이 될 수 있는 학과는 무엇인가요? 예: 경영학과(스포츠경영과 유사), 글로벌스포츠산업학과, 여가·레저학과 등 7. 전적대에서 스포츠에 관련된 과목을 수강을 하지않아도 편입을 스포츠매니지먼트에 할떄 아무 불이익이 없나요? 그러면 중요시 한 것이 무엇인가요?여러분, 저 진짜 편입에 진심이라서 질문에 좋은 답변을 적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1. 서울권 4년제 대학중에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가 있나요? (편입으로. 단, 실기 제외)
네 엄청 많죠. 편입을 원하는 학생 치고는 너무 안 알아본 것 같은데요? ㅎㅎ 당장 경기 서울권에만 해도 스포츠산업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스포츠레저학과, 스포츠의학과, 스포츠과학과 등등 엄청 많습니다.
2. 전적대 수강과목을 편입에서 본다던데, 스포츠에 관련된 학과를 지원하려면 전적대에서도 스포츠에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여부를 통해 갈리나요? (중국어학과 과목을 수강한 것이 많아서 걱정이에요) 아니면 이렇게 한거 말고 다른 뜻이 있나요?
전적대 수강과목을 편입에서 본다 라는 기준이 와전된 것 같은데요? 과목은 확인하지 않습니다~ 성적을 체크 하지요.
물론 전공에 따라 선수과목이 있는 경우 과목도 보긴 하지만, 원래 편입이란게 전공이랑 대학이 바뀌는거라 이전 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이수했냐 전혀 의미 없습니다.
3. 스포츠매니지먼트학과 편입 시 요구되는 영어 수준과 준비 방식은 어떤가요? (토익, 편입영어, 공인영어 대체 여부 등 확인 필요)
학교마다 달라요. 편입시험으로 영어 시험을 따로 보는 학교도 있고, 공익영어 성적으로 대체가 되는 학교도 있어요.
편입영어 시험을 준비하는 경우라면 무조건 학원 등록해서 수업을 하는게 좋고, 공인영어 성적으로 대체하는 학교의 경우 당연히 성적이 높을 수록 좋은거지 어느 수준에 맞춰서 준비한다~! 이런 부분은 사실상 편입 합격이 어렵습니다.
4. 학점 관리가 편입에서 어느 정도 중요한가요? (예: 4.0 이상 vs 3.5 정도)
학점 관리 또한 마찬가지 부분인데요... 모집요강에 따라 편입시험이 있는 경우 전적대 성적 반영 없이, 시험 성적만 반영이 되는 경우가 있고,
전적대 성적이 반영이 되는 경우라면 4.0 이상은 무조건 유지하는게 좋아요.
특히 인서울 학교라면 대부분 준비하는 학생들은 성적 4.0 이상인 경우가 허다합니다~
5. 편입 후 전공 따라가기 어려움이 있나요? (중국어학과 → 스포츠경영/스포츠산업)
당연히 이건 개인차이 인데요? 계절학기 라던가 여러 보충할 방법이 있기 때문에 졸업까지 전공이 본인과 맞지 않는 경우가 아니라면 문제는 크게 없습니다.
6. 서울권 스포츠 관련 학과 말고 대안이 될 수 있는 학과는 무엇인가요?
예: 경영학과(스포츠경영과 유사), 글로벌스포츠산업학과, 여가·레저학과 등
1번 질문과 유사한 듯 싶은데요? 스포츠산업학과,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스포츠레저학과, 스포츠의학과, 스포츠과학과 등등 학과는 정말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