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에서 맡고싶은 직책이 있는데 제가 다니고 있는 단과대학에서 각 과당 2학년이나 3학년 1명씩 대의원이라는
제가 다니고 있는 단과대학에서 각 과당 2학년이나 3학년 1명씩 대의원이라는 직책이 있거든요 그게 과에서 한명씩 뽑아서 과의 돈쓰는거를 관리하고 감사하는 직책이에요이게 되게 좋은거 같은게 다른 과 사람들이랑 친해질수도 있고 술도 마시고 뭐 좋은 경험이 될거 같아서 제가 올해 꼭 해보고 싶었는데 회비를 안내서 못했어요그래서 내년에 기회가 되면 해보고 싶었는데... 제가 이번에 봉사활동을 갔는데 거기서 친해진 대의원 하는 사람들이 너가 내년에 같이 하면 좋겠다 이런 얘기도 했었고 저도하고 싶었는데 저희 과 지금 대의원하는애가 이미 후임자 정해졌다고 하더라구요 후임자나 지금 대의원하는 애한테 말은 못 해봤는데 제가 꼭 하고 싶으면 어떡하죠 제가 지금 대의원하는 애보다선배기도하고 후임자보다 선배기도 해요지금 다른 과에서 대의원하는 애들도 한번 말해본다하는데... 저도 올해 못해본게 아쉽고 내년에 기회되면 해보고 싶다고 말해도 되나요 괜히 자리 뺏는거 처럼 되어서 이미지 안 좋아질까봐 걱정이되네요 무엇보다 뽑는건 올해 10월 11월 즈음이고 후임자가 이미 정해져서 얘기도 다 끝난거 같고 밥 약속도 한 것 같더라구요 아직 남았으면 진지하게 얘기해봐도 되나요하고싶으면 하는게 맞나요 그냥 자리 뺏는거처럼 되어서 이미지만 망칠가 걱정이 되네요 말하기도 무서워요
본인이 대의원에 꼭 하고 싶다면, 후임자 및 현재 대의원에게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후임자가 정해졌다고 하더라도 정중하게 본인의 의사를 전달하면 상대방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후임자가 이미 정해진 상황에서도 "저도 정말 하고 싶었는데, 이번에는 기회가 없었어요. 내년에 꼭 참여하고 싶어요."라고 정중하게 말하면 자리 뺏는 느낌이 들지 않으며, 오히려 본인의 열의와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단, 상대방이나 후임자와의 관계를 고려해 예의 바르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미 자리 배정 과정이 끝났다면 그 점도 자연스럽게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진심을 담아 정중하게 이야기하는 것이며, 그렇다고 해서 이미지가 나쁘게 될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신감을 갖고 간단히 이야기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 드립니다^^ 추가 질문은 채택 해주시면 답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