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 현대무용 중1인데요 지금 작품을 받아서 중2때 콩쿨을 나가려고 했는데 엄마가 돈이
중1인데요 지금 작품을 받아서 중2때 콩쿨을 나가려고 했는데 엄마가 돈이 없어서 지금 당장은 못받겠다고하셨는데요 제가 솔로작품도 안받아봤고 지금 시기 놓치면 중3때 첫 솔로 콩쿨인데요…. 또 제가 예고를 가고싶어요 그래서 지금 꼭 작품을 받아야할거같은데 또 예고 입시 작품도 따로받아야하잖아요 현실적인 조언 부탁드립니다ㅠㅠ
아래 뉴스 기사를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학력지상주의의 덫…"한국 최고 발레리나도 학위없으면 교수 못해 (매일경제 2010-4-10)
"한국 최고 발레리나도 학위없으면 교수 못해" - 학력지상주의의 덫
초졸 아니면 중졸. 한국 대표 발레리나 강수진과 김지영, 김주원, 강예나, 윤혜진, 박세은, 고혜주 씨 등은 `학력 고민`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들이 졸업한 외국 발레학교는 아카데미(전문 학원)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유명 발레리나 중 상당수는 대부분 예원학교와 선화예술중학교를 졸업한 후 유학길에 올랐다. 하지만 예원학교는 예술학원 성격이어서 중학교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다. 예원학교를 졸업한 후 외국 발레 학교를 나온 김지영과 박세은, 고혜주 씨는 초졸이다. 강수진과 김주원ㆍ강예나 씨는 선화예술중학교, 윤혜진 씨는 인문계 중학교 출신이어서 현재 중졸 학력이다. 몸의 한계 때문에 30대 중ㆍ후반에 은퇴해야 하는 발레리나의 전성기는 20대다. 무대에서 춤을 추며 날아다녀야 할 시기에 대학 공부를 하는 게 쉽지 않다. 하지만 학력지상주의 사회는 무용수에게도 학위를 기대한다. 프로 무대에서 춤출 때는 학력이 걸림돌이 되지 않지만 은퇴 후 진로에 따라 대학 졸업장이 필요하다. 국내 대부분 대학들이 교수 임용에 석ㆍ박사 학위를 요구한다.
국립발레단 간판 스타 김지영 씨도 초졸 학력에 부담을 느껴 이화여대 3학년에 편입했지만 2002년 네덜란드 국립발레단에 발탁되면서 학업을 접었다.
한국 발레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국립발레단 수석 무용수 김주원 씨도 한국예술종합학교에 편입했으나 프로 무용수 생활과 병행하기 어려워 자퇴하고 서울사이버대학 사회복지학과에 입학했다. 유니버설발레단(단장 문훈숙)은 한성ㆍ서울디지털대학과 제휴를 맺고 단원 3명이 학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했다.
예술가에게 학력의 잣대를 들이대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학교로 돌아가는 발레리나`들이 늘고 있다. 국립발레단 신세대 스타 무용수 박세은 씨는 최근 프로 무대를 포기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 복학해 충격을 줬다.
외국 무용계와 대학에서는 프로 무대 경력이 더 우선시되는 반면, 한국은 여전히 학력이 발레리나들의 발목을 잡는다.
독일에서 활약하는 강수진 씨는 "독일은 초졸 학력이라도 대학 교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프로 무용수들이 은퇴 후 학위와 상관없이 능력에 따라 교편을 잡을 수 있도록 발레학교 설립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무용평론가 김애경 씨는 "전성기 발레리나가 춤이 아니라 공부에 전념하는 것은 관객 입장에서 큰 손실"이라며 "고졸 학력을 인정하는 발레학교를 세우면 학생들도 전문 교육을 받고 학력 부담도 덜 수 있다"고 지적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4115767#home

최민우 기자의 까칠한 무대<27>학교로 간 발레리나 | 중앙일보
발레리나 박세은(21). 이 이름, 일반인에게 조금 낯설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는 강수진과 김지영·김주원의 뒤를 잇는 차세대 선두주자로, 국내 발레계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는 무용수다. 그는 2007년 세계 최고 권위의 로잔 콩쿠르에서 그랑프리를 거머쥐었다. 1985년 강수진에 이어 한국인으론 두 번째 쾌거였다.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