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경제학과 생기부 1. 제가 부동산 학과를 1순위로 희망하고 있어서 부동산을중심으로 세특을 쓰고
1. 제가 부동산 학과를 1순위로 희망하고 있어서 부동산을중심으로 세특을 쓰고 있는데, 나중에 경영학과를 갈일이 생길수도 있을 것 같아서 부동산경영으로 생기부를 채우려고 하는데 부동산이랑 경영이랑 섞어버리면 나중에 불이익을 받을까요?2. 경영학과랑 경제학과중에 수학을 더 많이 보는 학과는 어디인가요? 또 사탐 경제과목을 더 중요시여기는 학과는 어디인가요?
1️⃣ 부동산 주제 + 경영(부동산경영) 세특 → 나중에 경영학과 지원 시 불이익?
부동산학과 1순위로 생각 중이지만, 나중에 경영학과로 진로를 넓힐 수도 있다면
→ **‘부동산경영’**이라는 복합적 세특 구성이 오히려 폭넓은 관심과 융합적 역량을 보여줘 유리할 수 있어요.
좋은 생기부는 ‘특정 학과에만 맞춘 딱딱한 진로 방향’보다
→ 자기 주도적 탐구, 협업, 발표 역량, 계획성 등을 잘 드러내는 게 중요합니다
부동산 관련 STEM(투자·분석 등) 활동을 세특으로 기록하되,
팀플/기획/사업체험 등 경영적 요소(팀워크·데이터분석·프리젠테이션) 도 포함하면 더 좋습니다.
2️⃣ 경영학과 vs 경제학과 – 수학 & 경제 과목 비중 비교
경제학과는 미적분·선형대수·통계 등 수리 중심 학습이 많아 수학 실력이 필요해요
경영학과는 회계·재무·통계 정도까지만 수학이 쓰이며, 인사·마케팅 등 영역은 수학 부담이 비교적 적습니다
경제학과: 경제 과목이 전공 기초이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수능 경제 성적이 합격 여부에 직결될 수 있어요.
경영학과: 경제 과목이 주로 강조되지만, 다른 사탐 과목(사회문화·윤리 등)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경영학과는 탐구 융합형 평가, 경제학과는 경제 단일 과목 중심 평가 경향이 있어요 .
★★☆☆☆~★★★☆☆ (활용 과목, 필수는 아님)
부동산경영 세특 구성이 경영학과 지원에도 전혀 문제없으며, 오히려 융합적 역량을 보여주는 좋은 포인트가 될 수 있습니다.
경제학과를 목표로 한다면 → 수학 고득점(미적분) + 경제 과목 성취도가 필수입니다.
경영학과는 → 경제 과목 + 탐구 융합형 평가 준비 + 발표·팀플 활동 중심입니다.